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 태양신 라(Ra)

4. 태양신 라(Ra)

 

태양신 라(Ra) 또는 레(Re)는 제5왕조 24~25세기에 이르러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한 낮의 태양으로 여겨지며 가장 중요한 신으로 자리한다. 그다음 왕조시대에서 '라'는 호루스(Horus)와 합쳐지며 '라는 동쪽과 서쪽 지평선에서의 호루스'란 뜻의 '라-호라크티(Ra-Horakhty)'가 되며 그가 창조의 세계 모두 - 하늘과 땅 그리고 지하세계 까지를 다스린다. '라'는 또한 송골매나 매와 조합된다. 신왕조 시기에는 아문(Amun)이 현저하게 부상되며 '라'와 합쳐져 아문-라(Amun-Ra)가 된다. 아마르나 시기(Amarna Period) 파라오 아크헤나텐(Akhenaten)은 솔라 디스크를 신으로 모시는 또 다른 태양신 아텐(Aten)을 좋아해서 라 신앙을 억눌렀다. 그러나 아크헤나텐이 죽자 라 신앙은 다시 재건된다.

므네비스 황소(Mnevis bull, 세파피스 신전 세라페이온, 룩소르)

 

라를 구체화한 므네비스 황소(Mnevis bull)에 대한 신앙은 헬리오폴리스에서 중심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도시 북쪽에 희생 제물로 바쳐진 황소의 매장지를 조상하였다. 모든 생의 형태는 라에 의해 창조된다고 믿었다. 라가 모든 존재들의 비밀스러운 이름을 불러줌으로써 각각의 존재가 창조되어 진다 여겼다. 사람 역시 라의 눈물과 땀으로 부터 양자택일되어 만들어졌다. 하여 이집트인들은 그들을 '라의 가축들'이라 불렀다,

성스러운 황소 아피스(Apis)로서의 프타(Ptah), "진리의 장소의 종(Servant in the Place of Truth)"이라 불리는 람세스 3세 시절 데이르 알 메디나(Deir El Medina)의 장인 이리네퍼의 묘(The tomb of Irynefer, Quenq)

 

라의 역할

그린필드 파피루스(네시타네브타슈루의 사자의 서(The Book of the Dead of Nesitanebtashru). 영국박물관)

공기의 신 슈가 둥글게 아치를 만들고 있는 하늘인 누트)여신을 쳐들고 있고, 땅인 게브는 바닥에 누워있다.

이집트인들에게 있어 태양은 빛, 따스함, 성장으로 여겨진다. 이는 태양이 모든 것을 창조해낸 지배자로서 여겨지게 함으로써 태양신을 매우 중요하게 만들었다. 태양 원반은 태양신의 눈이나 몸을 나타낸다고 여겼다. 라는 '대기의 신' 슈와 '바다 속 빈 공간의 존재'를 나타내는 쌍둥이 여동생 테프누트(Tefnut)의 아버지로 이들을 창조했다. 슈는 또한 바람의 여신이며 테프누트는 비의 여신이다.

대기의 신 슈가 태양선을 떠받치고 있고 좌우로는 태양신이 매로 표명되어 생명의 통치권의 상징인 앙크 홀(Ankh scepter)을 들고 있다.(BC 1070년~946년, Deir el-Medina 출토.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

 

세크멧트는 라의 눈으로 라의 눈 속에 불로써 창조되었는데 그녀는 맹렬한 암사자로 나타내어진다. 하루해가 서쪽 지평선으로 지면 라는 죽어 죽은 자들이 가는 지하세계로 내려간다고 여겼다. 그리고 라는 '수백만 년의 배(Boat of Millions of Years)'라는 뜻의 맨제트(Mandjet)라 불리는 2대의 태양선이나 아침 배, 그리고 메세케테트(Mesektet)나 저녁/밤배를 타고 하늘과 지하세계, 두앗트(Duat)로의 여행을 떠난다.

아이(Ay)의 무덤 남쪽 벽(King;s Valley, 룩소르)

'수백만 년의 배(Boat of Millions of Years)'라는 뜻의 맨제트(Mandjet) 또는 아침 배라 불리는 태양선의 그림과 '사자의 서' 내용이 쓰여 있다.

메세케테트(Mesektet)나 저녁/밤배라 불리우는 태양선, 라는 지하세계에서 양의 머리를 하고 나타난다.

 

라가 태양선 메세케테프에 타고 있는 동안 라는 양머리를 하고 있는 형태가 된다. 라가 자신의 태양선을 타고 항해할 때는 여러 다른 신들, 시아(Sia, 지각), 후(Hu, 지휘), 헤카(Heka, 마술의 힘)와 같은 신들과 동행한다. 종종 태초의 9명의 신 에니아드(Ennead)가 라를 돕는다. 또한 암흑을 지배하는 거대한 독사 아포피스(Apopis)와 모헨(Mohen) 뱀은 매일 밤 라의 태양선을 삼키려 하지만 '마법의 신' 세트(Set)가 격퇴시킨다.

 

This god assumes another form at this cavern.

He turns away from Apopis

through the magic of Isis and the Eldest Magician (Seth).

(...)

He proceeds this way,

which is without water, without towing.

He sails by the magic of Isis and the Elders Magician,

and by the magical power which is in the mouth of the (great) god himself.

The slaughtering of Apopis is done in the Duat at this cavern ;

his place, however, is in the sky.

 

이 신은 이 동굴에서 또 다른 형태를 취한다.

그는 아포피스를 쫒아낸다.

이시스와 가장 오래된  마술사(세트)의 마법으로

(…)

물도 없고 이끄는 자도 없는 이 길을 .

그는 계속해 나아간다.

이시스와 가장 오레된 마술사(세트)의 마법으로,

(위대한) 신 자신의 입 속에 있는 마법의 힘으로,

그는 항해한다.

아포피스를 괴멸시키는 것은 지하세계의 이 동굴에서 마쳤다 :

그의 장소는, 그러나 하늘에 있다. 

- 암두앗트(Amduat), 7번째 시간, 524~525/528~529

아침에 누트 여신이 태양선을 하늘 높이 쳐들고 있다.(하토르와 마트 사원, 테베)

 

저녁에는 라가 아툼(Atum)이나 양의 모습을 한다고 믿었다. 지하 세계에서 라는 또한 '죽음과 지하세계의 왕' 오시리스(Osiris)와 합쳐지며 이를 통해 또한 죽음의 왕이 된다. 이러한 라의 신화는 태양이 밤새 모두 12단계의 시간을 거치며 재생 에너지를 얻어 하늘의 여신 누트(Nut)가 마지막 12 번째 시간에 라의 태양선을 하늘 위로 높이 쳐들어  태양신이 부활하며 창조신으로서의 역할을 더욱 강화시킨다.

 

They worship this great god at dawn,

when he rests in the eastern gateway of the sky.

They say to Re : 

Born is he, who is born!

Who has emerged, has emerged !

Venerated of the Earth, Ba-soul of the Lord of Heaven!

The sky belongs to your Ba-soul, that it may rest in it.

The Earth belongs to your corpse, Lord of Veneration!

You have seized the horizon, that You may rest in your shrine,

the two goddesses raise You with their body!

Acclamation to You,

Ba-soul which is in heaven ! Your two daughters receive You in your form.'

 

그가 하늘의 동쪽 문에서 쉬고 있을 때.

그들은 새벽의 이 위대한 신을 숭배한다,

그들이 라에게 말하길,

‘태어난 자가 태어났도다!

나타난 자가 나타났도다!

땅의 경배를 받는,

하늘의 주님이신 바-영혼이여!

하늘은 당신의 바-영혼에 속해있고,

거기서 편히 쉬소서.

땅은 그대의 시체에 속하였으니,

숭배의 주님!

당신은 지평선을 붙잡아

당신의 성지에서 편히 쉬소서,

두 여신이 그들의 몸과 함께

그대를 높이 치켜올리네.

당신께 환호하네,

하늘에 계신 바-영혼이여!

당신의 두 딸들이 당신을

당신의 모습으로 받아들입니다.

- 암두앗트, 12번째 시간. 809~812 

 

라는 창조자의 신으로서 특히 헬리오폴리스에서 숭배를 받았는데, 라가 흘리는 눈물에서 인간들이 태어난다고 여겼다(Rhind 파피루스, '창조의 역사'). 라의 숭배사상에서는 스스로 창조되었다 믿는 반면 '창조의 신'인 프타 숭배자들은 프타가 라를 창조했다 믿는다. '죽음의 서(Book of the Dead)'의 구절에서 라는 스스로를 잘라 자신의 피를 2개의 인격체, 통치권을 상징하는 후(Hu)와 마음을 상징하는 시아(sia)로 변모시킨다. 라는 또한 계절, 달(Month), 식물, 동물들의 창조자로 여긴다.

죽음과 지하세계의 왕 오시리스에게 경의를 표하고 있다. 그 옆에는 이시스 여신의 영원한 생명의 홀, 앙크 홀(Ankh scepter)을 들고 있다.

 

도상학

라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가장 통상적인 모습은 매의 머리에 뱀이 감고 있는 태양관을 쓰고 있는 남자 모습이다. 또 다른 일반적인 형태는 케프리(Khepri)로 나타날 때 말똥구리의 머리를 하고 있는 남자의 모습이거나 양의 머리를 한 남자의 형태를 하고 있다. 라는 또한 전체 양, 말똥구리, 불사조, 해가오리, 뱀, 황소, 고양이 또는 사자, 등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지하 세계에서의 가장 일반적인 모습은 양의 머리를 한 남자로 여기서 라는 '서쪽의 양(ram of the west)' 또는 '암컷을 거느리는 양(ram in charge of his harem.)'의 존재로서 나타내진다. 천상의 소에 관한 서를 비롯한 일부 문학에서 라는 황금으로 된 살과 은으로 된 뼈, 그리고 라피스 라줄리(lapis lazuli, 청금석)로 된 머리카락을 가진 나이든 왕으로 묘사되고 있다.

태양신의 저녁 해의 양상으로 나타난 크놈(Khnom)

지하세계에서 라는 양의 머리를 하고 나타나는데 여기서 라는 '서쪽의 양(ram of the west)' 또는 '암컷을 거느리는 양(ram in charge of his harem.)'의 존재로서 나타내진다. Aswan

부적을 만드는 주물 틀(BC 664~332년, 휴스턴 자연과학박물관)

불사조 베누(Benu)로서의 라, 베누는 나일 강의 홍수와 하의 조합으로 불사조로서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한다. 

 

숭배

우선적인 라 숭배 중심은 '기둥의 장소(Place of Pillars0', 이우누(Iunu)로 나중에 그리스인들에 의해 '태양의 토시'란 뜻의 헬리오폴리스(Heliopolis)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오늘날로 보면 카이로 외곽이 되어 버렸다. 라는 이곳에서 지역의 태양신이던 아툼으로 여겨지며 아툼 또는 아툼 라(Atum-Ra)가 되며 최초의 존재, '태초의 9명의 신', 엔니아드(Ennead)의 창조자, 슈와 테프누트, 게브, 오시리스, 세트, 이시스, 벱프티스의 창조자가 되었다. '라의 영접(The Receiving of Ra)'축일은 그레고리안 력으로 5월 26일이다, 라의 지역 신앙은 제2왕조 시기부터 시작되었는데, 제4왕조 때에는 파라오를 '라의 아들'이라 하며 라에 대한 지상에서의 표명으로 여겼다. 제5왕조에 이르며 라 신앙은 광범위하게 확산되며 라는 국가의 신이 되며 파라오들은 라를 기리는 의미로 피라미드들과 오벨리스크 그리고 태양신전을 일렬로 배치되게 건설하였다. 제5왕조의 통치자들은 백성들에게 자신들이 라의 아들이며 헬리오폴리스의 대사제 부인이라 하였다. 이들 파라오들은 국고의 대부분을 태양 신전 건설에 써버렸다. 첫 번째 피라미드 서(Pyramid Texts)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며 파라오의 지하 세계로의 여행에 있어서의 라의 중요성이 더욱 더 강조되었다.

중왕조 동안에는 라가 아문(Amun)이나 오시리스 같은 다른 최고의 신들과 연결되기 시작한다. 신왕조 시기에는 라의 숭배가 더욱 복잡해지고 웅장해졌다. 무덤 묘실 벽에는 라의 지하세계 여행에 관한 장례 문서들이 아주 세세하게 새겨졌다. 라는 태양선에 죽은 자의 영혼과 함께 산자들의 축원과 기도를 싣고 나른다고 여겨졌다. 이러한 생각들은 신왕조 동안 더욱 유행되어 갔다. 찬송, 기도와 더불어 장례문서의 구절들을 포함한 숭배 행위들은 라와 태양선이 '악의 신' 아펩(Apep)을 극복하리라 믿었다. 로마 제국 시절 그리스도교의 부상으로 라 숭배사상은 끝이 난다. 그리고 라의 인기는 갑자기 사라져 버렸다. 따라서 라에 대한 연구는 이집트 사제들 사이에서 순전히 학문적인 관심으로 유지하게 되었다.

 

다른 신들과의 관계

이집트 신들 중 가장 널리 숭배되어진 신으로서 라는 종종 다른 신들과 합쳐졌다.  

아문-라(루브르)

아문과 아문-라(Amun and Amun-Ra)

아문은 '태초의 8명의 신' 오그도아드(Ogdoad) 중 하나로 초기 테베의 수호신 아마우네트(Amaunet) 여신과 함께 창조적 에너지를 상징한다. 그는 숨쉬기를 통해 창조한다고 믿어왔는데, 하여 태양보다는 바람으로 특성지어 졌다. 아문과 라의 신앙은 점차 상, 하부 이집트에서 인기를 끌었는데, 각각 창조신 아문-라(Amun-Ra)로 합쳐졌다. 그러나 언제 이러한 결합이 이루어졌는지 구분 짓기는 어렵다. 그러나 아문-라가 피라미드 서에 나타난 것은 제5왕조 시기에서 부터였다. 라-아문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믿음은 신왕조 시기의 테베 통치자들은 제18왕조 경에 이전의 라의 신앙과 아문 숭배를 합쳐 새로운 국가의 신으로 만들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숭배자들로 부터 아문-라는 '신들의 왕'이라는 공적인 타이틀을 부여받았으며 사자의 머리에 태양관을 두르고 붉은 눈을 가진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내졌다.

이 파라오의 천문학 방 천장에 묘사된 벽화에는 오그도아드의 여덟 명의 남녀 신들이 있다. 우측의 배에는 오시리스가 권좌에 앉아있고 그 왼쪽에 넵프티스(Nephtys), 오른쪽에 이시스가 있고 그 뒤로 마트여신이 있다. 왼쪽에 머리가 넷에 날개 달린 숫양은 남쪽 바람을, 그 알 날개달린 독수리는 북쪽 바람을 나타낸다.(Dendera 사원, Dandarah, Qena, 이집트)

황금관을 쓴 매의 머리를 하고 있는 태양신 라 호라크티-아툼(Kom Ombo 사원)

아툼과 아툼-라(Atum and Atum-Ra)

아툼-라(Atum-Ra) 또는 라-아툼(Ra-Atum)은 완전히 다른 신들이 합쳐진 신으로 라는 아문과의 합체 때 보다 아툼과 더 많은 유사성을 나누고 있다. 아툼은 더욱 긴밀하게 태양과 연관을 지으며 또한 태초의 9명의 신 에니아드에 창조자가 된다. 라와 아툼 모두 신들과 파라오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널리 숭배된다. 이전 신화들에서 아툼은 테프누트와 슈의 창조자로 그는 거대한 바다 눈(Nun)으로 부터 태어났다.

"영원의 집"  벽화(암굴 묘인 센네젬의 묘, BC 1320년~1200년, Deir el-Medina, 테베)

매 머리를 하고 뱀 모양의 표상인 우라에우스(Uraeus)가 둘러싼 태양관을 쓴 태양신 라-호라크티-아툼이 자신의 성스러운 배 태양선(Solar barque)을 타고 있다. 

라-호라크티-아툼, 이집트 태고의 신, "9명의 신" 엔니아드, 그리고 성스러운 새 베누(Benu)가 태양선을 타고 있다.(Sennedjem 무덤)

라-호라크티(Ra-Horakhty)

후기 이집트 신화에서 라-호라크티(Ra-Horakhty)는 합체된 신들보다 더 많은 이름들과 표명들로 표시된다. '라는 지평선의 호루스'라는 뜻으로 떠오르는 태양으로서의 호루스의 양상인 호라크티(Horakhty)를 라와 연결시키고 있는데 이는 라-호라크티가 단순 동쪽 지평선에서 서쪽 지평선으로의 태양의 여행을 나타내거나 희망과 부활의 상징으로서의 라를 나타내기 위한 의미이다.

 

To be spoken over a falcon standing with the White Crown on his head; Atum, Shu and Tefnut, Geb and Nut,

Osiris and Isis, Seth and Nepthys being drawn in ochre on a new bowl placed in the sacred barque,

together with an image of this spirit (ba) whom you wish to be made worthy,

it being anointed with oil. Offer to them incense on the fire and roasted ducks, and worship Ra.

It means that he for whom this is done will voyage and be with Ra every day in every place he desires to travel,

and it means that the enemies of Ra will be driven off in very deed. A matter a million times true.

— Book of the Dead, spell 134

 

머리에 하얀 왕관을 쓰고 서 있는 매에게 말한 바:

아툼, 슈와 테푸누트, 겝과 누투, 오시리스와 이시스, 세트와 넵티스는

성스러운 범선의 새 접시에 있는 오커(황토)로 그려졌다.

그대가 값어치 있게 되기를 원하는 이 바의 그림과 함께. 기름으로 발려졌다.

이들에게 불 속에서 향과 구운 오리를 봉헌하고 라에게 예를 올렸다.

이는 그들의 항해가 매일 같이 어느 곳에서나 '라'와 함께 항해하고

무사히 마치기를 원하며 그들에게 바치는 것이다.

또한 이는 라의 적들이 쫒겨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는 백만 번 진실하다 

- 사자의 서 134번.

라 호라크티와 이우사스(세티 1세 사원의 라 호라크티 예배소, 아비도스)

케프리(Khepri) 

케프리와 크놈(Khepri and Khnum)

This great god is born in his manifestations of Khepri at this cavern.

Nun and Naunet, Hehu and Hehut, emerge at this cavernat the birth of this great god,

that he goes forth from the Duat,

places himself in the day-bark, and appears from the thighs of Nut.'

 

이 위대한 신은 이 동굴에서 케프리로서의 자신에 표명으로 태어난다.

헤후트는 이 위대한 신이 탄생할 때 이 동굴에 나타나서

그가 지하세계로 부터 나아가,

낮의 태양선에 자리하고 누트의 허벅지로부터 나타나게 한 다.'

- 암투앗트 12 번째 시간, 794-795

 

케프리(Khepri)는 말똥구리로 아침에 태양을 하늘 위로 굴려 올린다. 그리고 종종 라의 아침에 대한 표명으로 나타난 다. 이와 같이 양머리를 한 크눔(Khnum)은 라의 저녁에 대한 표명이다. 이러한 각기 다른 시간의 신들 - 즉, 각기 다른 라의 양상들에 대한 생각은 하루 각기 다른시간대의 태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케프리는 말똥구리로 아침에 태양을 하늘 위로 굴려 올린다. 그리고 종종 라의 아침에 대한 표명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양머리를 한 크눔은 라의 저녁에 대한 표명이다. 라는 종종 정오의 태양으로서의 표명을 호루스로 나타내진다. 한낮의 절정에 이르는 이때는 라의 표명이라기보다 호루스로서의 표명이다

창조신, 태양의 어머니인 네이트 여신과 "나일 강의 근원"의 신, 크눔(엘레판틴 섬의 크눔사원, Aswan)

라엣트-타위(Raet-Tawy)

라엣트(Raet) 또는 타위(Raet-Tawy)는 태양신 라의 여성적 양상이다. 그녀는 태양신으로 부터의 그다지 중요한 독립성을 지니고 있지 않는다. 일부 신화에서는 라의 부인이나 딸로서 나타내진다.

라의 여성적 양상인 라엣트 타위 여신(프톨레마이오스 왕조, Medamud 출토, 석회암, 루브르)

 

라에 의해 창조된 신들

바스텟

바스텟(Bastet)

'라의 고양이'로 알려져 있는 바스텟(Bastet)은 라의 딸로 라의 복수의 도구로서의 태양신의 눈으로 조합된다. 또한 바스텟은 매일 밤 태양선을 삼켜버리려는 '혼돈의 신' 아포피스 뱀(serpent Apophis)을 물리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는 바스텟을 누비아의 암사자로 보낸다.

태양신 '라'가 보낸 딸 바스텟(Bastet)이 아포피스(Apophis)를 죽이고 있다.(Inerkhau 무덤, Deir el Medina, 테베)

하토르(Hathor)

오로보로스-뱀(Oroboros-serpent) 귀걸이를 한 하토르(Hathor)가  오로보로스-뱀(Oroboros-serpent) 머리 장식을 한 세티(Sethi)에게 저승에서 악의 정령을 물리치고 죽은 자를 소생시키는 '메나트 목걸이(necklace Menat)'를 건네주고 있다.(세티 1세의 무덤에서 출토, 루브르)

하토르(Hathor)는 라의 딸이자 호루스의 아내로 사함들이 라에 대해 음모를 꾸밀 때, 라는 하토르를 '라의 눈'으로 보내 인간들을 모조리 없애버린다. 그리고 나중에 세크멧트를 보내 마무리 한다. 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 로마 신화의 비너스와 동일시된다. 하늘, 사랑, 기쁨, 결혼, 춤, 아름다움 등의 여신으로 보통은 사랑과 미의 여신으로 숭배 받는다. 본래 '호루스의 집'으로 해석해 호루스가 밤에 머무는 하늘의 공간으로 여겨졌다. 하토르 숭배의 첫 중심지는 상부 이집트 단다라와 아프로디트폴리스였다. 때로 지하 세계의 여왕으로 여겨지기도 했는데, 묘지가 많은 테베로 옮겨지면서는 지하묘지의 수호신이 되었다. 보통 2개의 뿔 사이에 태양원반을 달고 있는 여신, 또는 암소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그밖에 악의 정령들을 물리치는 딸랑이 악기로 묘사되기도 하며 이집트 이외에 비블로스(Biblos, 오시리스의 시체가 머문 땅으로 현재의 레바논), 시나이, 푼트 등지에서도 숭배를 받았다. 하토르는 태양이 지는 곳, 죽은 자들이 매장되는 곳으로 서쪽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죽음이 곧 재생이라는 신화론적 탄생의 의미도 함축하고 있다.

 

I built a house for the Goddess,

Made of the wood of the sycamore tree.

Under the leaves of the palm tree,

I eat bread in honour of her.

Hathor, Hawk of the Sky,

Rest in the limbs of my tree.

Hathor, House of the Sun,

Live in my house forever

 

단풍나무로 만든 야자수 잎 아래

나는 그녀를 기리는 빵을 먹네.

하토르, 하늘의 매

내 나무 가지에서 쉬거라.

나의 집에서 영원히 살거라.

 

라의 라이벌들

 

프타(Ptah)

프타(아멘호텝 3세 봉헌, BC 1390년~1352년, 테베,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 이태리)

 

프타(Ptah)는 고대왕조 피라미드 서에서 드물게 언급된다. 이는 라를 숭배하는 헬리오폴리스의 사람들 또 다른 창조주로서의 프타를 질투하여 그렇게 하였다. 여겨진다. 이들은 라가 스스로 창조되었다 믿으며 또 다른 프타 추종자들은 프타가 라를 창조했다 믿는다.

 

이시스(Isis)

이시스

이시스 여신은 종종 자신의 아들 라가 힘을 갖기를 원하여 라에 대항하기 위한 음모를 꾸민다. 한 신화에서는 이시스는 뱀을 만들어 라를 독살하려 한다. 뱀에 물린 라에게 이시스는 해독제 만 건네준다. 라가 자신의 진짜 이름을 그녀에게 건내주자 이시스는 무서워 한다. 그의 비밀스런 이름을 들어냄으로 하여 이시스는 라를 상대로 모든 힘을 써서 마침내 호루스에게 왕권을 넘긴다.

 

아펩(Apep)

라의 지하세계의 여행은 7번째 시간에서 멈추게 될 위험에 처하게 되는데, 이는 아포피스(Apobis)가 물길을 삼켜버렸기 때문이다. 아포피스는 아펩(Apep), 아포피(Apopi)라고도 하는 저승을 어지럽히고 암흑을 지배하는 거대한 독사로 매일 밤 '라(Ra)'의 태양선을 삼키려 하지만 신들이 격퇴시킨다. 일식은 아포피스의 일시적 승리라 여기며 낮 동안에 그가 나타나면 거대한 모래 폭풍이 일어난다고 한다. 오시리스 신화에서는 악마의 신 세트(Seth)의 변신으로 나타나며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의 창세기 전설에서는 '라'가 큰 고양이가 되어 이 뱀을 정복한다. 그러나 아포피스는 영원히 죽지 않는 존재로 칼이나 창으로 찔러 죽여도 다음날 밤이면 다시 살아나 '라'를 공격한다. 사람들은 이 뱀을 없애기 위하여 초로 큰 뱀을 만들어 주문을 외면서 그것을 불 속에 던지는 의식을 거행한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반인반수의 거대한 괴물 티폰(Typhon)으로 여겨진다.

 

태양신의 통치

창세기 후 신화시대가 지나고 태양신 '라'는 신들과 인간들의 왕으로 세상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이집트 전통에서의 황금기와 근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 안정된 시기에 이집트인들은 태양신에 관한 생각을 끊임없이 일깨우고 또 서로 모방하며 추구해 나갔다. 아직 라의 지배에 관한 이야기는 마트(Maat) 여신을 법의 집행자로 생각하는 이집트인들의 관념 속에 왕의 역할이 반영되어 태양신과 그의 통치에 대항하여 이를 붕괴시키고자 하는 힘 사이의 투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라에 관해 잘 알려진 이야기들은 주로 사원의 문서들로 부터 나왔는데, 이들은 각기 다른 버전이 있다. 이 에피소드들에서 일부 신들은 '라'의 권한을 얕보고 있다. 그리고 '라'는 토트나 호루스 같은 신들의 도움과 조언을 받아가며 이들을 격퇴시킨다. 라는 스스로 확장해 나가며 얼굴을 바꾸는데, 이는 그의 변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라의 눈'은 라로 부터 독립적으로 떨어져 나와 여신의 형태가 된다. 눈의 여신은 라와 함께 분노하여 그로부터 달아나 이집트 밖의 거칠고 위험한 땅에서 돌아다닌다. 그녀의 부재로 약해진 라는 다른 신들, 슈, 토트 또는 안후르(Anhur) 중 한명을 보내 그녀를 찾아내 설득을 하거나 아님 힘으로 다시 데리고 와 도로 제자리로 돌려놓는다.

'라의 눈'은 소티스 별(Sothis Star)과 조합되는데, 소티스 별은 그리스 어로는 세이리오스라 하며, 라틴어와 영어로는 시리우스(Sirius), 통상 우리말로는 ‘큰 개자리’라 하며 한자어로는 '천랑성(天狼星)이라 부른다. 소티스는 큰 개자리의 알파성으로 해마다 5월 10일부터 7월 18일까지 70일간은 보이지 않다가, 7월 19일 경을 전후하여 이른 새벽 동쪽 하늘에 나타나는데,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 소티스 별이 나타나는 날을 새해의 첫 날로 정하였다. 그 이유는 바로 이때부터 나일 강의 홍수가 범람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대 이집트는 나일 강이 홍수로 인해 범람하기시작하며 한해의 새로운 계절이 시작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오래 전 부터 이미 1년을 태양을 중심으로 하는 태양력의 365일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같은 4년 마다 하루 씩 윤년을 계산하지 않아 실제 날짜와 달력상의 날자가 4년에 하루 씩 차이가 났다. 그러다가 1460년(365 x 4)이 지나면 달력상의 1월 1일과 소티스 별의 출현이 일치하는데 이 기간(1460년)을 '소티스 주기(Sothic Cycle)'라 부른다. 태양신 라의 눈인 소티 별이 뜨며 나일 강의 홍수가 시작됨과 동시에 눈의 여신이 되돌아와 자리하며 생명에 활기를 주는 범람이 일어난다. 그녀가 돌아오며 여신은 라의 배우자가 되거나 라를 회복시키는 신이 된다. 그녀의 귀환으로 인한 평안은 생명을 회복시키고 다시 시작하게 만든다.

라가 나이가 들고 쇠약해짐에 따라, 사람들은 태양신에게 등을 돌리고 대항하기 시작한다. '천상의 소에 관한 서(The Book of the Heavenly Cow)'에 나오는 종종 '인간의 파멸(Destruction of Mankind)'이라 부르는 에피소드에서 라는 인간들이 자신에게 등을 돌리고 폭동을 일으키려는 음모를 꾸미는 것은 알아차린다. 그러자 라는 그들을 벌하려고 자신의 눈을 보낸다. 이에 눈의 여신은 피에 굶주린 암사자 머리를 한 세크멧트로 변하여 많은 사람들을 죽여 없애버린다. 그러나 라는 그녀가 모든 인간들을 없애버리길 바라지 않았다. 하여 그는 세크멧트를 달래려 맥주에 붉은 황토를 타서 마치 피와 같이 만들어 들판에 뿌린다. 눈의 여신은 맥주를 마시고 취하여 온 들판이 피에 물든 것으로 착각을 하고 그녀의 광폭한 행동을 멈춘다. 라는 땅을 다스리는데 이제 지쳤다 하여 하늘로 물러나 자신의 하늘과 지하세계, 두앗트(Duat)를 오가는 죽음과 부활의 여행을 계속한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당황하여 어찌할 줄 몰라 했다. 그리고는 라를 음모하여 이 사단을 일으킨 자들을 공격하였다. 이로부터 인류의 전쟁과 죽음,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파괴적 행동으로부터 마트 여신의 보호를 받으려는 사람들의 끊임없는 발버둥이 시작되었다.

'천상의 소에 관한 서'에서 인류의 파괴 결과로 인하여 신화시대에서 신들이 인간 세상을 직접 다스리는 것은 끝이 났음을 보여주고 있다. 라의 여행의 시작은  오늘날 태양의 주기가 시작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전설에서는 이 사건이 끝났어도 신화시대는 계속되고 있다. 몇몇 신화의 구절들에서는 수천 년 동안을 태양신이 신으로써 지상 세계를 지배해 나가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천상의 소에 관한 서 벽화(세티 1세 무덤, 왕의 계곡 동쪽)

소의 모습한 하늘의 여신 누트를 대기의 여신 슈가 쳐들고 있고 이를  '태초의 8명의 신' 오그도아드(Ogdoad)가 거들고 있다.





목차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