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조광조(趙光祖, 1482~1519)

Bollnow 2025. 1. 4. 10:46

江湖亭會遊                 강호정에서 모여 놀다

 

洛陽西畔海門東          낙양 서쪽 언덕, 바다 관문 동쪽

地勢逶迤壑勢雄          지세는 구불구불 골짜기 형세는 웅장하다.

八九人家山影裏          여덟아홉 되는 인가는 산 그늘 속에 있고

兩三禽語水聲中          두세 마디 새소리는 물소리 속에서 들린다.

淸風入戶繩床冷          맑은 바람 방문으로 들어오니 침상 서늘하고

返照侵簾酒杯空          넘어가는 햇빛 주렴에 드는데 술잔이 비었다.

踏遍名園花事歇          이름난 동산을 두루 다녀 꽃구경 마치니

春光隨我杖頭紅          봄빛은 나를 따라오니 장두마저 붉었다.

 

 

綾城累囚中

 

誰憐身似傷弓鳥          누가 화살 맞은 새 같은 나를 가련해 하랴

自笑心同失馬翁          말을 잃은 노인의 심정이기에 홀로 웃어본다.

猿鶴正嗔吾不返          원숭이와 학이 슬피 우는 건 내가 풀려나지 못할 것임을 알려주니

豈知難出伏盆中          엎어진 동이 속을 못 벗어날 줄 어찌 알았을까?

 

 

送安順之求禮           안순지를 구례로 보내며

 

君行屬春時              그대 떠나는 날 화창한 봄이라

天地養仁和              세상은 어질고 평화로워라.

活潑江新流              사방에 물 녹아 강물은 새롭고

耒茸草生坡              새싹 돋아나고 언덕엔 풀이 자라네.

道逈千里遠              길은 멀어 천 리 길

眼中歷幾多              지난 일 돌이켜 보면 산 넘고 물 건넌 일 몇 번이던가.

君子惟心遠              군자의 마음이란 넓어야 하는 것

無非意所加              마음 쓸 곳이 없지 않도다.

他日聞報政              훗날에 잘 다스린 일 소문 들린다면

須憶此日歌              오늘의 이 노래 다시 부르리.

 

 

送順之南行              순지의 남행을 전송하여

 

慈母保赤子              인자한 어미가 어린애를 보호함에

莫學中兒情              배우지 아니해도 아이의 마음에 맞춘다.

吾民此有口              우리 백성에게 입이 있으니

我志當先明              나의 뜻을 마땅히 먼저 밝혀야 한다.

濟物固分事              사물을 구제함은 진실로 분수에 맞는 일이요

素學爲今行              평소 배운 것을 백성 위해 이제 행하리라.

化宣君能否              교화를 펴는 일을 그대 능히 할 수 있으리니

最父子弟兄              가장 먼저 부자형제로부터 해야 하리라.

大雅曾未聞              대아를 아직 듣지 못했으니

汚染何由淸              오염을 무엇으로 말미암아 맑게 할까.

 

2

大道久寂寞              대도가 오래도록 적막하니

異議今崢嶸              이단들이 이제 우뚝하구나.

渾渾千丈波              혼혼한 천 길의 물결

黃流欲揜淸              황하의 물이 맑은 물 덮치려 한다.

王澤滯莫下              왕의 은택이 막혀 내려가지 못하니

殘氓無自生              쇠잔한 백성들이 스스로 살 수가 없다.

嘗聞古君子              일찍이 들으니 옛날 군자들은

歎靡逢君明              임금의 총명함 만나지 못함을 탄식하였다.

維時難再得              오직 기회는 다시 얻기 어려우니

爲君鳴不平              임금 위해서 공평하지 못함을 울려라.

 

3

君行屬春時              그대 가는 것이 봄날에 속하니

天地養仁和              천지가 인애와 화목을 기르는구나.

活油江新流              활발하게도 강물은 새로이 흐르고

丰茸草生坡              무성하게도 풀은 언덕에 돋아나는구나.

道逈千里盡              길은 멀어 천 리나 아득히 뻗치고

眼中幾歷多              눈 안에는 지나온 것이 얼마나 많았는가.

君子惟心遠              군자는 오직 마음으로 멀리 보나니

無非意所加              뜻이 더할 바가 아님이 없다.

他年聞報政              다른 해에 정사를 보고해 들려주면

須憶此日歌              모름지기 이날의 노래를 꼭 기억하시라.

 

4

扶時有所歸              때를 붙잡아 돌아갈 곳 있으니

適幾尤陳力              기미를 맞추어 더욱 힘을 베풀라.

習流慣可人              시류를 익혀 가인에 익숙하니

奈如戕善俗              어찌 착한 풍속을 해칠 수 있을까.

聖主方轉化              성주께서 교화를 펴고 계시니

東丘欣日出              우리나라에 기쁜 해가 솟아오른다.

款款效忠信              정성되게 충성과 믿음 본받으니

莫此更何得              이것 말고 다시 무엇을 얻을까.

天威嚴咫尺              하늘의 위엄이 지척에 엄숙하니

一誠毋移易              한결같은 정성을 옮겨 바꾸지 말라.

 

 

詠琴                           거문고를 노래함

 

瑤琴一彈千年調          아름다운 거문고로 천 년의 가락을 타노라니

聾俗紛紛但聽音          속된 이들은 멋도 모르며 그저 들을 뿐이네.

怊悵鍾期沒己久          내 곡조를 알아줄 친구가 없음을 슬퍼하노니

世間誰知伯牙心          이 세상에 그 누가 내 마음을 알아줄까나.

 

 

絶命詩

 

愛君如愛親              임금을 어버이처럼 사랑했고

憂國如憂家              나라를 내 집같이 근심했네.

白日臨下土              밝은 해가 세상을 굽어보니

昭昭照丹衷              붉은 충정을 밝게 비추리라.

 

 

題姜淸老隱蘭竹屛   강청로의 난죽 병풍에 제하다

 

1

筍生俄茁葉              죽순이 나서 조금 만에 잎이 나오더니

稚長却成竹              어린것이 자라 문득 대나무가 되었구나.

觀物做工夫              물건을 보고 공부를 삼으니

如斯期進學              이와 같이 하여 학문의 진보를 기약하세.

 

2

南巡飄不返              남으로 순행하다 표연히 돌아오지 못하니

哭帝喪英皇              순제가 아황과 여영을 잃음을 곡하였다.

血染成斑竹              피는 물들어서 소상의 얼룩진 대나무 되고

淚沾漾碧湘              눈물은 적셔 푸른 상수의 물결을 붉게 한다.

 

 

曺梅溪偉輓                 매계 조위 만가

 

梅溪先逝寒暄弔          매계가 먼저 죽어 한훤당을 조상하니

野史當年感愴多          야사에 전한 당시에는 감상과 슬픔 많았어라.

聞道河陽猶有子          들으매 하양에 오히려 그대가 있어

霜天如見一黃花          서리 내린 날 한 떨기 국화를 보는 듯하여라.

 

 

贈松齋                     송재에게 주다

 

特松凌雲碧              우뚝한 소나무 푸른 구름 능멸하고

孤月照氷寒              외로운 달은 얼음 비춰 차갑구나.

欲識先生節              선생의 절개를 알아보려면

請取松月看              청컨대, 소나무와 달을 취해서 보시라.

 

 

贈張孟羽                    장맹우에게 드리다

 

平生技倆路岐頭          평생의 기량이 갈림길이 있어

白首窮途謾抱愁          백발에 곤궁하게 근심을 안고 있다.

上帝聰明元在我          상제의 총명이 원래 내게 있어

向來名利不曾求          이후론 명리를 일찍이 구하지 않았다.

 

 

秋夜舟中奉別金子由之任榮川     가을밤 배 안에서 김자유가 영천으로 부임함을 전별하다

 

才傑應時運              재주 뛰어남은 시운에 응하였고

登庸簡上心              등용은 임금의 마음에 간택이 되었구나.

豸威烏扇肅              해치의 위엄에 검은 부채 엄숙하고

虎略塞垣深              호랑이 지략은 변방에 깊숙하였다.

再折淸都桂              두 번 청도의 계수나무를 꺾고

重鳴宓子琴              거듭 복자천의 거문고를 타는구나.

萊衣兼晝錦              효도와 출세를 겸하였으니

壽席雪盈簪              환갑연에 흰 머리털이 비녀에 가득하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