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녀(龍女)의 비밀
용녀(龍女)의 비밀
차상찬
작제건(作帝建)은 고려 태조 왕건의 조부였다.
그의 외조부인 보육(寶育)이 일찌기 그 형의 딸 덕주(德周)와 결혼하여 두 딸을 낳았으니 큰 딸은 응명(應命)이요, 작은 딸은 진의(辰義)라고 하였다.
진의는 어려서부터 자색이 출중하고 재주가 비상하니 보육이 특별히 사랑하여 그야말로 장중보옥(寶玉)과 같이 애지중지 하였다.
진의의 형 응명이 어느 날 밤에 우연히 꿈을 꾼즉, 자기가 오관산(五冠山) 꼭대기에 올라가서 소변을 보았는데 그 소변이 온 천하로 흘러서 넓고 넓은 큰 바다를 이루었다.
그 꿈을 꾸고 난 응명은 퍽이나 이상히 생각하고 그 아우 진의에게 이야기를 하였다.
동생 진의는 원래가 영리하기로 유명하였으므로 자기가 그 꿈을 사겠다고 하고 비단치마 한 개를 가지고 응명에게 간청하니 응명은 그것을 허락하고 진의를 향하여 마치 무당이 신 나리 듯이 이삼차 그 꿈의 설몽을 하니 진의의 몸이 부르르 떨리어 무슨 소득이나 있는 것 같아서 그때부터 자부하는 마음이 적지 않게 생기고 항상 장래의 큰 희망을 가지고 있게 되었다.
그 때에 중국 당나라 무종의 황태자(唐武宗의 皇太子)는 천하의 명산대천을 두루 구경하고 해동 고려국의 금수강산을 한번 구경하고자 평양의 패강 서포(浿江 西浦)까지 이르니 때는 마침 조수가 물러가고 진흙이 강가에 가득 덮혀서 상륙하기에 매우 곤난하였다.
황태자의 수행원들은 수중에 있는 돈(錢)을 펴서 상륙하니 그 땅을 뒤에 사람들이 이름 지어 부르되 전포(錢浦)라고 하였다.
황태자는 그 길로 곧 송악군까지 와서 곡령(鵠嶺_송악의 별명)에 올라서서 산천구경을 하다가 남방(南方)을 돌아보고 말하되
"이곳은 왕도지지(王都之地)로구나!"
하고 무한히 칭찬을 하였다.
황태자는 다시 발을 옮겨 마하갑(摩河岬), 양자동(養子洞)에 이르니 해가 이미 저물기 시작하였다.
황태자는 하는 수 없이 인가를 찾아 하룻밤 자고 가기를 청하니 그 집이 바로 보육의 집이었다.
황태자는 주인 보육이 자비하고 후덕한 것도 감심하였거니와 그의 두 딸을 보고 마음에 더욱 기뻐하여 자기의 의복 해어진 것을 꿰매주기를 청하니 보육은 그가 중국의 귀인인줄 알고, 전날 어떤 술사가
"그곳에다 집을 짓고 살면 외국의 귀인이 오리다."
하던 말과 부합되는 것을 마음속으로 기뻐하며 그는 큰 딸 응명을 보냈더니 응명은 겨우 문지방을 넘어가다가 별안간 코피가 나서 가지 못하고 아우인 진의를 대신 보내서 서로 정을 통하게 되어 두어 달 동안을 유숙하니 진의는 임신을 하게 되었다.
황태자는 얼마 만에 고국으로 돌아가게 됨에 진의와 작별하여 말하되
"나는 대당귀인(大唐貴人)이요."
하고 또 활과 화살을 주며
"만일 아들을 낳거던 주시오."
하였다.
그 뒤에 진의는 한 옥동자를 낳았으니 그가 곧 왕건의 조부 작제건(作帝建)이요 뒷날 추존하여 의조경강대왕(懿祖景康大王)이 되었다.
작제건은 어려서부터 신용(神勇)이 있고 총명하여 나이 겨우 오륙 세 때에 그의 어머니에게 내 아버지가 누구냐고 물으니 그의 어머니는 그가 그저 당나라 사람인줄만 알고 성명은 모르는 까닭에 그냥 당부(唐父) 라고만 대답해 주었다.
작제건은 차차 자라며 재주가 비상하여 육례(六禮)를 모두 겸하였고 특히 글씨(書)와 활쏘기가 특출하니 어머니가 매우 사랑하여 열여섯 살 때 그 부친이 주고 간 활과 화살을 주니 작제건은 크게 기뻐하여 그 활을 쏘아 보니 참말로 백발백중으로 못 맞추는 것이 없어서 세상 사람들이 모두 신궁(神弓) 이라고 입에 입을 모아서 칭찬들을 하였다.
그는 점점 자라서 자기의 아버지를 찾아보려고 상선(商船)을 얻어 타고 서해로 나가서 해중에 이르니 별안간 구름과 안개가 잔뜩 끼고 천지가 아득하여 방향을 모르게 되었다. 그러니 배는 오도 가도 못 하고 해상에 떠 있었다.
배에 타고 있던 사람들은 모두 어찌할 줄을 모르고 당황하던 차에 한사람이 점(占)을 치니 고려 사람이 하나 있어서 그러하다고 하고 그를 잡아서 물속에 넣으려 하였다. 그는 자진하여 활을 가지고 물속으로 뛰어드니 거기에는 뜻 밖에 큰 바위가 있어서 다행히 빠져 죽지는 않았다.
그러자 다시 하늘은 구름이 걷히우고 안개가 개어져 배는 저 갈 데로 가버리고 말았다.
그는 만리 청파에 외로이 바위 위에 갈매기 모양으로 우두커니 혼자 앉아있었더니 홀연히 백발노인이 와서 절을 하여 말하되
"나는 본래 서해의 용왕이었는데 밤마다 늙은 여우(老狐)가 광채 찬란한 부처의 복색을 하고 일월성신을 구름과 안개 속에다 벌려놓고 소라를 불고 북을 치며 주악을 타고 이 바위에 와서 옹종경(臃腫經)을 읽기 때문에 골치가 몹시 아파 견딜 수가 없소. 들은 즉 당신이 활 쏘는 재주가 천하명궁이라 하니 나를 위하여 그것을 없애 주며는 감사하기 한량이 없겠오."
하니 작제건은 그 백발노인의 청을 쾌히 승낙 하였다.
그는 노인의 말대로 활을 잘 메워가지고 시간이 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더니 과연 공중에서 주악소리가 나며 오색이 찬란한 부처의 형상이 서북 편으로 부터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작제건은 그것이 정말 부처인 줄만 알고 감히 쏘지를 못하고 주저하고 있었더니 노인이 또다시 와서 하는 말이
"그것은 틀림없는 여우이니 아무 염려 마시고 쏘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그는 그제야 의심하지 아니하고 활을 들고 있다가 그 부처가 또다시 오는 것을 보고 공중을 향하여 힘껏 쏘니 과연 큰 여우가 화살에 맞아 떨어졌다.
노인은 크게 기뻐하여 그를 맞아 용궁으로 데리고 들어가서 치하하며 말하되
"당신이 나의 원수를 없이하여 주셨으니 그 은덕이 여간 큰 것이 아닙니다. 이제 내가 당신에게 이 은혜를 갚고저하니 당신이 만일 당나라에 가서 천자를 보시겠다면 보시게 해 드리고, 칠보(七寶)를 가지고 부자가 되시겠다면 부자가 되게 해드리고, 본국으로 가서 어머니를 뵙겠다면 본국으로 보내 줄 터이니, 소원대로 말하시오."
하였다.
작제건은 대답해 말하되
"저는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으나 고려에 가서 왕이 되고 싶으나 그것을 하게 해 주시오."
하였다.
그 용왕은 말하되
"동국의 왕은 당신의 자손 되는 삼건(三建)이나 할터이요, 당신은 아직 운이 못되었은즉 그 외에 아무 것이나 소원대로 청해보시오."
하고 말하는 것이었다.
그러니 작제건은 운이 안 닿았단 말을 듣고 낙심한 듯이 아무 말도 대답을 하지 않고 그냥 있노라니까, 등 뒤에 난데없는 한 노파가 나타나서 조롱하듯 싱글싱글 웃으며 하는 말이
"그러지 말고 용왕의 따님에게 장가나 들지."
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그는 그제야 깨닫고 그 청을 하니 용왕은 자기의 맏딸(長女) 저문의(煮旻義)와 혼인하게 하였다.
작제건은 용왕의 딸과 같이 칠보를 가지고 장차 고국으로 돌아오려고 할 때 용녀가 말하되
"우리 아버지에게는 양지(楊枝)와 도야지(豚)가 있으니 그것은 칠보보다 몇 배가 넘는 보물인즉 칠보와 그것을 바꾸어 달래가지고 가십시다."
하고 말하였다.
작제건은 그 말을 듣고 용왕에게 그 청을 하니 용왕이 말하되
"그것은 나의 귀중한 것이지만 당신이 청하는데야 어찌 안 드릴 수 있읍니까."
하고 또 도야지를 마저 내어 주었다.
작제건과 용녀는 칠보와 도야지를 칠선(漆船)에다 싣고 바다로 떠나오니 순식간에 육지에 도달하고 그곳은 바로 창능굴(昌陵窟) 앞 강 언덕이었다.
그때에 백주정조(白州正朝), 유상희(劉相希) 등은 그 소문을 듣고 개, 정, 염, 등, (開, 貞, 鹽, 登) 네고을과 강화, 교동, 하음 세 고을 사람들을 지휘하여 영안성(永安城)을 쌓고 궁실을 신축하여 그들을 거처하게 하였다.
용녀는 처음에 오는 길로 개주(開州) 동북산록에 가서 은바리(銀盂[은우])로 땅을 파고 물을 떠서 먹었으니 지금 개성에 있는 용우물(龍井)이 곧 그것이라 한다.
그리고 일 년 후에 그 도야지는 우리 속으로 들어가니 용녀는 도야지에게 말하되
"네가 만일 이곳에서 살 수 없다면 너의 마음대로 가거라 나도 너 가는 데로 따라가겠다."
하였더니
그 이튿날 아침에 도야지는 슬며시 나가서 송악산 남쪽 기슭에 누어 있으므로 그곳에 터를 잡고 새로 집을 지으니 그곳은 곧 옛날 보육의 아버지 강충이 살던 집터였다.
그들은 그곳과 영안성으로 넘나들며 무릇 삼십 여년을 살았다고 한다.
그리고 용녀는 일찌기 송악산의 새집 침실 창밖에 우물(井)을 파놓고 그 우물로 들어가서 항상 서해 용궁을 출입 하였으니 광명사동상방북정(廣明寺東上房北井)이 그 우물이라고 한다.
용녀는 또한 항상 작제건과 약조하기를
자기가 용궁으로 갈 때에는 절대로 보지를 말아 달라고 하였더니 하루는 작제건이 가만이 엿본즉 용녀는 하녀와 같이 우물로 들어가서 용이 되고 오색구름이 일어나는지라 작제건은 그것을 이상하게 여겼으나 약속이 있기 때문에 감히 말을 못하더니 뒤에 용녀가 돌아와서 크게 노하여 말하되
"부부의 도리는 신의가 소중한 것이어늘 당신이 이제 약속을 위반하였으니 나는 같이 살지 못 하겠오."
하면서 그만 하녀와 같이 용이 되어 우물로 들어간 뒤 다신 나오지 않고, 작제건은 만년에 충청도 보은 속리산 장갑사에 가서 불경만 읽다가 죽었다고 한다.
그의 아들은 용건이니 곧 고려 세조 왕융(王隆)이요,
손자는 바로 왕건 태조(王建太祖)이고
용녀는 후에 추증하여 원창왕후(元昌王后)가 되었다.
그리고 고려 왕씨(王氏)는 이 용녀의 자손이기 때문에 왕이 되는 이는 대개가 옆구리에 용의 비늘이 있어서 왕족을 용협(龍脇)이라고도 하였다.